[파이썬]문자열 함수 - 값 찾기, 개수 세기, 합치기, 나누기
파이썬은 문자열 자료형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내장 함수를 가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문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함수 find, index와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개수를 세는 count 함수, 문자열을 합쳐주고 구분하는 join 함수에 대해 포스팅한다. 함수는 문자열 변수에 '.'를 붙여 사용한다. 문자열 관련 함수들을 보려면 dir(str)을 터미널 창에 입력하면 된다. >>> dir(str) ['__add__', '__class__', '__contains__', '__delattr__', '__dir__', '__doc__', '__eq__', '__format__', '__ge__', '__getattribute__', '__getitem__', '__getnewargs__', '__gt__',..
2022. 9. 26.
[파이썬]숫자 자료형 정리 - int, float, 사칙연산
숫자 자료형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다. 이번 글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정수와 소수점이 있는 실수 자료형과 숫자형의 사칙연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드물게 2진수, 8진수, 16진수도 있지만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겠다. 숫자형 종류와 주의사항 1. 정수형(Integer) 정수형은 정수로 되어있는 자료형을 말한다.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모두 같은 Integer 타입에 속하며 'int'로 표시된다. 변수 선언은 변수명 = 값, 혹은 변수명 = int(값) 이렇게 하면 된다. >>> a = 100 >>> b = int(-90) >>> c = 0 >>> type(a), type(b), type(C) (, , ) 파이썬의 내장 함수 type을 이용하여 각 변수들의 자료형을 보면 모두 'int'로 나..
2022.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