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 집합3

[파이썬]3과 5의 배수 찾기 그동안 공부한 기초 문법을 활용하여 인터넷에 떠돌아 다니는 여러 코딩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한다. 첫 번째 포스팅은 코딩도장이라는 사이트에서 가장 추천 수가 많은 3과 5의 배수 찾기이다. 3과 5의 배수 찾기 10미만의 자연수에서 3과 5의 배수를 구하면 3,5,6,9이다. 이들의 총합은 23이다. 1000미만의 자연수에서 3,5의 배수의 총합을 구하라 위 문제를 풀어보자. 먼저 3과 5의 배수들은 3이나 5로 나눌 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한다.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해보자. 함수 만들기 def multiples_35(nums): result = 0 for i in range(1, nums): if i%3==0 or i%5==0: result += i return result result = multiple.. 2022. 10. 21.
[파이썬]set 자료형 다루기 - 집합의 연산 및 관련 함수 집합(set) 자료형은 정말 집합처럼 사용할 수 있어서 교집합과 합집합, 차집합을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집합 자료형들의 교집합과 합집합, 차집합을 구해보고, 집합자료형 관련 함수들도 다뤄보겠다. 집합 자료형의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구하기 - &, |, - 교집합 구하기 - '&' 연산자, intersection 함수 >>> a = {1, 2, 3, 4} >>> b = {3, 4, 5, 6} >>> a & b # '&' 연산자로 a와 b의 교집합 구하기 {3, 4} >>> a.intersection(b) # intersection 함수로 a와 b의 교집합 구하기 {3, 4} '&' 연산자로 집합 a와 b의 교집합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연산자 없이 intersection 함수로도 .. 2022. 10. 4.
[파이썬]set 자료형 만들기 및 집합의 특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집합(set) 자료형에 대해 포스팅한다. set 자료형은 집합 관련된 것을 처리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자료형이다. set를 만드는 방법과, 특징, 집합에 관련한 연산과 관련 함수들에 대해 알아본다. 집합(set) 만들기 x = set() 형태로 set 자료형 만들기 >>> a = set([1, 2, 3]) # 변수=set([리스트]) 형태로 set 만들기 >>> a {1, 2, 3} >>> a = set(('Hello', 'Python')) # 변수=set((튜플)) 형태로 set 만들기 >>> a {'Hello', 'Python'} >>> a = set("Hello") # 변수=set('문자열') 형태로 set 만들기 >>> a {'l', 'H', 'e', 'o'} >>> type(a.. 2022.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