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기초 문법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의 생성과 연산

by 코키드 Cokid 2022. 9. 28.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스트(list) 자료형에 대해 포스팅한다.

리스트 자료형에 대한 소개와 리스트의 연산과 간단하게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리스트(list) 자료형 만들기

리스트 생성하기

>>> a = [1, 2, 3, 4]
>>> a
[1, 2, 3, 4]

위 예시와 같이 리스트는 대괄호([ ])로 만들 수 있다. 각 요소값들 사이는 쉼표로 구분한다.

 

리스트의 형태

a = [1, 2, 3, 4] # 하나의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리스트
>>> a
[1, 2, 3, 4]

>>> a = ['a', 'b', 'c', 'd']  # 하나의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리스트
>>> a
['a', 'b', 'c', 'd']

>>> a = [1, 2, 'a', 'b'] # 하나 이상의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리스트
>>> a
[1, 2, 'a', 'b']

>>> a = [1] #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진 리스트
>>> a
[1]

>>> a = [] # 빈 리스트 생성
>>> a
[]

리스트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하나의 자료형으로만 이루어진 리스트가 있는 반면, [1, 2, 'a', 'b']처럼 서로 다른 형태의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도 만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요소로만 이루어진 리스트도 있으며, 아예 빈 리스트를 만들 수도 있다.

 

>>> a = [1, 2, ['a'], ['a', 'b']]  # 리스트를 포함한 리스트
>>> a
[1, 2, ['a'], ['a', 'b']]

>>> a = [1, [1,2], [1, ['a', 'b']]] # 리스트를 포함한 리스트를 포함한 리스트
>>> a
[1, [1, 2], [1, ['a', 'b']]]

리스트 자료형은 요소로 리스트를 가질 수도 있다. 위 코드에서 리스트 [1, 2, ['a'], ['a', 'b']]는 요소값으로 리스트 ['a']와 ['a', 'b']를 가지고 있다.

리스트 [1, [1,2], [1, ['a', 'b']]]의 요소 중 리스트 [1, ['a', 'b']]는 그 안의 요소값으로 ['a', 'b']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리스트의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자신이 다루는 리스트가 어떤 형태인지 잘 알아야 한다.

 

리스트의 연산 - 더하기(+), 곱하기(*)

리스트의 연산은 문자열 자료형의 연산과 매우 흡사하다.

더하기는 연결, 곱하기는 반복의 기능을 한다. 코드에서 확인해 보자

 

리스트 더하기(합치기, +)

>>> a = [1, 3, 5]
>>> b = [2, 4, 6]
>>> a + b
[1, 3, 5, 2, 4, 6]

리스트의 더하기는 두 개의 리스트를 합치는 기능을 한다. 앞의 리스트에 뒤에 리스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리스트가 된다.

 

리스트 곱하기(반복하기, *)

>>> a = [1, 2, 3]
>>> a * 3 * 리스트a 세 번 반복
[1, 2, 3, 1, 2, 3, 1, 2, 3]

리스트에서 곱하기 연산은 반복을 의미한다. 위에서 보듯이 리스트가 세번 반복되어 새로운 리스트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