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while, for 반복문 탈출과 계속하기 - break, continue
이번 포스팅에서는 while과 for 같은 반복문에서 조건문이 True인 경우에도 반복문을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break와 반복문의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게 해주는 continue에 대해 알아본다. 반복문 강제로 탈출하기 - break break로 반복문 강제로 탈출하기 while문의 조건문이 True일 경우에도 break로 while문을 빠져나올 수 있다. count = 0 while True: count += 1 print('현재 카운트 %d' %count) if count == 5: break print('while문 탈출') #결과 출력 현재 카운트 1 현재 카운트 2 현재 카운트 3 현재 카운트 4 현재 카운트 5 while문 탈출 위 예문을 보면 조건문은 항상 True이기 때문에 while문..
2022.10.07
-
[파이썬]문자열 포매팅 - 포맷 코드, format 함수, f 포매팅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특정 값을 삽입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매일 그날의 요일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It is Monday" "It is Tuesday" 위 문자열을 보면 문자열 내부에 요일을 나타내는 'Mon'과 'Tues' 부분이 매일 바뀌어야 한다. 문자열 포맷 코드로 포매팅(%d, %f, %s) 포매팅을 하는 첫 번째 방법은 문자열 포맷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시를 보자. >>> a = "It is %sday." % "Mon" # 문자열 바로 대입. >>> print(a) It is Monday. >>> today = 'Tues' >>> a = "It is %sday." % today # 변수로 대입 >>> print(a) It is Tuesday. 포맷 코드를..
2022.09.25
-
[파이썬]불 자료형 - bool 함수로 참과 거짓 판별하기
이번 글에서는 자료형이 참(True)과 거짓(False)인지 나타내는 불(bool) 자료형을 다룬다. 자료형의 참과 거짓이라는 것의 의미와 bool 자료형의 활용에 대해 알아보자. 불(bool) 자료형 이해하기 불(bool) 자료형이란? >>> a = True >>> a True >>> type(a) >>> b = false # false를 변수명으로 인식하여 에러 발생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NameError: name 'false' is not defined bool 자료형은 자료형의 참과 거짓을 판별한다. bool 자료형은 자료형이 참인 경우에 True, 거짓인 경우에 False를 반환하는데, True, False 두 가지의..
2022.10.04
-
[파이썬]문자열 함수 - 값 찾기, 개수 세기, 합치기, 나누기
파이썬은 문자열 자료형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내장 함수를 가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문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함수 find, index와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개수를 세는 count 함수, 문자열을 합쳐주고 구분하는 join 함수에 대해 포스팅한다. 함수는 문자열 변수에 '.'를 붙여 사용한다. 문자열 관련 함수들을 보려면 dir(str)을 터미널 창에 입력하면 된다. >>> dir(str) ['__add__', '__class__', '__contains__', '__delattr__', '__dir__', '__doc__', '__eq__', '__format__', '__ge__', '__getattribute__', '__getitem__', '__getnewargs__', '__gt__',..
2022.09.26
-
[파이썬]모듈 - 만들기, 불러오기, if __name__ == "__main__"
이번 포스팅에선 모듈 만들기, 불러오기, if__name__ == "__main__":의 의미에 대해 포스팅한다. 모듈은 주로 변수와 함수, 클래스 등을 모아 놓은 파이썬 파일이다. 다만 직접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이 아니라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든 파이썬 파일을 말한다. 모듈은 왜 필요할까? 하나의 파이썬 파일에 수많은 함수와 클래스를 만들어 놨다고 상상해보면 코드가 지저분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질 것이다. 모듈을 통해서 내가 작업하는 메인 파이썬 파일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모듈로 만들어서 필요할 때 언제든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모듈 만들기 모듈에 대해 얘기하기 전에 두 수를 받아 사칙연산을 하는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사칙 연산..
2022.10.14
-
[파이썬]문자열 함수들 - 대문자, 소문자, 알파벳, 숫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이 어떤 형태로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함수들을 다뤄볼 것이다. 대문자, 소문자, 알파벳인지 확인하기 - isupper, islower, isalpha isupper 함수로 대문자인지 확인하기 >>> a = 'PYTHON' >>> a.isupper() True >>> a = 'Python' >>> a.isupper() False >>> a = 'P Y T H O N' >>> a.isupper() # 공백은 상관 없음 True >>> a = 'PYTHON가나다' >>> a.isupper() # 한글도 상관 없음 True >>> a = 'PYTHON123' >>> a.isupper() # 숫자도 상관 없음 True isupper 함수는 문자열이 모두 대문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하..
2022.09.27
-
[파이썬]조건문 if -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in, not in
이번 포스팅에서는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 ==, !=, =), 조건을 판별하는 연산자(and, or, not), 특정값이 자료형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연산자(in, not in)에 대해 알아보자. 비교연산자 - , ==, !=, = 비교연산자로 조건문 만들기 cond_1 = 10 cond_2 = 20 if cond_1 < cond_2: print('{} < {}'.format(cond_1, cond_2)) #결과 출력 10 < 20 다양한 방법으로 조건문을 만들 수 있는데, 비교연산자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위 예문에서는 비교연산자 '
2022.10.05
-
[파이썬]튜플 이해하기 - 특성, 인덱싱, 슬라이싱, 연산
튜플은 리스트와 굉장히 유사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대괄호[ ]가 아닌 괄호()로 싸서 만드는 것과 리스트는 요소값을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는 반면 튜플은 수정할 수 없다. 튜플의 특성 - 튜플의 생성과 수정, 삭제 튜플(tuple) 만들기 >>> a = () # 빈 튜플 생성 >>> a = (1, 2, 3) >>> a = (1,) # 요소값이 하나인 튜플 생성 >>> type(a) 튜플을 만들 때는 괄호()를 사용한다.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빈 튜플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요소값이 하나인 튜플을 만들고 싶다면 요소값 뒤에 반점을 찍어야 튜플 자료형이 된다. >>> a = 1, 2, 3 # 괄호가 없이 튜플 생성 >>> type(a) >>> a = 1, # 괄호가 없이 요소값이 하나인 튜플 생성 >>>..
2022.10.02
-
[파이썬]1부터 1000까지 각 숫자의 개수 세기
오늘은 코딩 도장에서 많은 추천수를 받은 문제인 1부터 1000까지의 숫자에서 등장하는 숫자들의 개수를 세는 문제를 풀어보자. 각 숫자의 개수 구하기 우선 예시를 보자. 만약 1부터 20까지의 숫자들에서 나오는 숫자들의 개수를 구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0: 2개, 1: 12개, 2: 3개, 3: 2개, 4: 2개, 5: 2개, 6: 2개, 7: 2개, 8: 2개, 9: 2개 155에는 1이 1개, 5가 2개 있는 셈이다. 각 숫자들이 나오는 횟수을 합해보자. for 반복문 단순하고 간단하게 풀어봤다. nums = [0, 0, 0, 0, 0, 0, 0, 0, 0, 0] for i in range(1, 1001): for j i..
2022.10.23